[맞춤측정기준을 따로 설정하는 이유]
추가적인 필드를 만들어서,
데이터 수집 영역을 넓힌다.
GA가 기본적으로 수집하는 데이터 외에
추가적인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내부 고객데이터를
GA로 전송해서
맞춤 측정기준으로
고객 정보를 분석 가능하다.
(맞춤측정기준으로 세그먼트를 생성하여,
특정한 사용자들을 그룹화하여
분석할 수 있다.)
관리 ▶ 속성 ▶ 맞춤정의 ▶ 맞춤 측정기준
위 순서대로 들어가서 확인할 수 있다.
유료버전(360)은 200개 까지 쓸 수 있는데
무료는 20개까지 가능하다.
이름 설정은 보고서 상에서 우리가
확인하려고 만드는 것이다.
실제 역할을 하는 건 '지수' 부분이다.
(지수 넘버로 인식)
이런식으로 넘버링된 지수가
실제 활동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맞춤측정기준에는 범위(Scope)를
지정할 수 있다.
Session 1 (9시) hit 2개 전송/ A
Session 2 (9시 5분)
Session 3 (9시 10분) hit 4개 전송/ B
시간대별로 세션을 설정했다면,
hit는 과연 무슨 역할을 할까?
hit 2에 A가 남아있다.
hit 4에는 B가 남아있다.
▶ 내가 보낸 필드값에,
딱 그자리에만 저장이 된다.
Session 1 (9시) hit 2개 전송/ 앞에 것도 A로 바꿔버림.
Session 2 (9시 5분)
Session 3 (9시 10분) hit 4개 전송/ B
Session3에서 B하나를 넣었더니
모두 B데이터로 덮어버리는 것을 확인가능하다.
▶Session은 맨 마지막(해당 지점)에 보낸
필드값이 세션의 값을 다 덮어씌운다.
Session 1 (9시) 아무것도 안 보냄
Session 2 (9시 5분) A값 전송 /A 값이 뒤덮음
Session 3 (9시 10분) 역시나 이 쪽 라인도 A값으로 도배
▶ 향후 세션까지도
전부 다 A가 덮어버림.
다른 value가 들어오기전까지,
자동으로 씌움을 반복한다.
그 앞의 세션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전송 이후의 세션에만
값이 부여된다.
Scope를 정할 때,
기획안을 먼저 쓰고
개발자에게 문서를 넘겨서 적용한다.
로그인 여부가 예시라면
session이나 hit를 적는다.
hit: 각각의 hit마다 로그인 여부가 남음
session: 맨 마지막에 yes처리되면,
전체가 다 yes로 덮어씌워짐.
기획전명이 예시라면
기획전 이름은 hit로 적는다.
세션단위로 정해지는 할당값이 아니고,
딱 할인대잔치 페이지를 본 그 시점에
데이터가 나오면 되기 때문이다.
▶ GA 맞춤측정기준의 실제 적용도 중요하고,
문서로 남기는 것도 필요함.
키워드 분석- 구글 키워드 플래너로 검색량 조회하기 (1) | 2022.01.11 |
---|---|
구글 서치 콘솔 문제해결: 색인이 생성되었으나 robots.txt에 의해 차단됨 (0) | 2022.01.06 |
티스토리 블로그 구글 검색 등록하기 (SEO,유입률) (1) | 2021.12.30 |
GA의 이벤트란 어떤 기능을 하는가?(category, action, label) (0) | 2021.06.24 |
구글애널리틱스의 계층구조(계정,속성,보기)에 대한 정리 (0) | 2021.06.2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