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의 이벤트 기능]
페이지가 로드될때,
자동으로 발생하는 페이지뷰와 별개로 쓰인다.
사용자의 액션을 디테일하게 추적하는 기능
이벤트 기능을 활용하면, 클릭이 많은 배너나
버튼 클릭 수, 인기영역등의 여러 데이터를 체크 가능
추적코드를 넣는다 = 페이지뷰를 수집하겠다.
*이벤트가 필요한 이유는?
페이지뷰로는 원하는 데이터를 다 수집할 수 없기 때문이다.
고객의 액션(스크롤, 다운로드, 비디오 재생, 공유)은
페이지 뷰 단위로 수집 불가능이다.
그래서 각각 버튼에 이벤트를
달아준다.
카테고리/액션/라벨로
이벤트 데이터가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어느 영역을 클릭했는지
분류하기 위해서, 계층구조를 가진다.
마케터가 직접 네이밍을 할 수 있다.
구글 애널리틱스는 로고인지, 텍스트인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분간을 못한다.
▶그래서 마케터가 GA이벤트 만들 때
필드값들의 이름을 만들고,
뎁스를 따라서
카테고리 지정해준다.
*
변수 처리가 필요한 부분은
label에 {{배너명}} 이런 식으로 처리를 해준다.
(나중에 언제든 이름이 바뀔 것 같다!! 하는 부분들)
이런 식으로 기획안을 써서 프로그래머에게 넘겨야 한다.
▶
공통 GNB 부분에, 로고 영역에 대한
데이터 수집을 하겠다는 뜻.
GA4에서는 위와 같은 분류가 없어졌다.
카테고리/액션/라벨이 없고
이벤트 이름과 파라미터1/ 파라미터2만 존재한다.
▶GA4에서는 이벤트 이름 하나 설정하고,
파라미터로 변수 설정해서 데이터 전송
GA의 이벤트는 위와 같은 계층구조를 가진다.
Label에는 변수 지정을 하는 곳으로,
언제든 바뀔 수 있는 값이 있다면 여기 넣는다.
키워드 분석- 구글 키워드 플래너로 검색량 조회하기 (1) | 2022.01.11 |
---|---|
구글 서치 콘솔 문제해결: 색인이 생성되었으나 robots.txt에 의해 차단됨 (0) | 2022.01.06 |
티스토리 블로그 구글 검색 등록하기 (SEO,유입률) (1) | 2021.12.30 |
GA 맞춤측정기준의 범위 (hit, session, user) 설정하기 (0) | 2021.06.30 |
구글애널리틱스의 계층구조(계정,속성,보기)에 대한 정리 (0) | 2021.06.2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