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올린 파일을 삭제하고,
새 파일에서 port 3000 서버를 구동했더니
이런 에러가 생겼다.
터미널을 변경하는 방법으로 해결된다.
node:events:368
throw er; // Unhandled 'error' event
^
Error: listen EADDRINUSE: address already in use :::3000
at Server.setupListenHandle [as _listen2] (node:net:1334:16)
at listenInCluster (node:net:1382:12)
at Server.listen (node:net:1469:7)
at Object.<anonymous> (C:\Users\Administrator\Desktop\test.js:14:6)
at Module._compile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101:14)
at Object.Module._extensions..js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153:10)
at Module.load (node:internal/modules/cjs/loader:981:32)
at Function.Module._load (node:internal/modules/cjs/loader:822:12)
at Function.executeUserEntryPoint [as runMain] (node:internal/modules/run_main:81:12)
at node:internal/main/run_main_module:17:47
Emitted 'error' event on Server instance at:
at emitErrorNT (node:net:1361:8)
at processTicksAndRejections (node:internal/process/task_queues:83:21) {
code: 'EADDRINUSE',
errno: -4091,
syscall: 'listen',
address: '::',
port: 3000
}
터미널에 나타난 에러의 전체 코드다.
이미 포트가 사용중이기 때문에 다시 재실행할 수 없는 경우다.
지금 사용하고 있는 포트는 3000번이므로,
여기서 어떤 node js 프로세스가 해당 port를
점유하고 있는지 알아내면 된다.
그리고 그 프로세스를 죽이면 해결된다.
lsof : 'lsof' 용어가 cmdlet, 함수, 스크립트 파일 또는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이름으로 인식되지 않습니다. 이름이 정확한지 확인하
고 경로가 포함된 경우 경로가 올바른지 검증한 다음 다시 시도하십시
오.
위치 줄:1 문자:1
+ lsof -i TCP:3000
+ ~~~~
+ CategoryInfo : ObjectNotFound: (lsof:String) [],
CommandNotFoundException
+ FullyQualifiedErrorId : CommandNotFoundException
address already in use 에러를 해결하려고,
lsof 명령어를 쳐봤는데 또 다른 에러가 나온다.
아래 글을 읽고 힌트를 얻었다.
보니까 사용하던 터미널이 powershell이어서
node가 작동이 안됐던 거였다.
1. node 터미널을 들어가봤는데,
3000번 port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였다.
2. 터미널에 아무런 입력도 안되는 상태 (서버 구동중)
3. node 터미널을 삭제하고,
node "파일명" 명령어를 입력
(터미널에서 ctrl+c 로, 서버를 꺼도 된다.)
4. 새로운 node터미널이 생기면서
node js의 address already in use 에러가 해결됐다.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laxodud2388&logNo=222102392025
vscode 터미널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기 (Setting까지) (0) | 2021.12.31 |
---|---|
[스크립트 실행 오류] 보안 오류: (:) [], PSSecurityException (feat. vscode) (1) | 2021.12.28 |
실무에서 자주 쓰는 리눅스 명령어 (구름 IDE 사용) (0) | 2021.11.29 |
리눅스 linux apt-get, nginx 설치로 프로젝트 서버연결 (0) | 2021.11.29 |
리눅스 vi editor 사용법과 명령어, 단축키 정리 (0) | 2021.11.2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