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html, java 언어때문에 vscode만 사용을 하고 있었다.
오랜만에 python을 다시 하려는데
주피터노트북이 데스크톱에는 안 깔려있다.
그래서 파이썬 웹에디터를 써서 간단하게 코딩해보기로 했다.
(곧, 파이참이나 주피터노트북같은 IDE도
설치해서 써볼 예정!)
설치없이 web에서 바로
코드를 보고 확인해볼 수 있다.
▼ 우선 이 사이트에 들어가보자!
Project Jupyter
The Jupyter Notebook is a web-based interactive computing platform. The notebook combines live code, equations, narrative text, visualizations, interactive dashboards and other media.
jupyter.org
들어가면 이런 화면이 보인다.
Try Classic Notebook 혹은
Try JupyterLab을 클릭한다.
둘 다 쓰는 기능은 똑같으니까,
아무거나 눌러서 쓰면 된다.
클래식 노트북쪽이 원래 주피터노트북 GUI와 비슷해서
쓰기가 훨씬 편하긴 하다.
파이썬웹에디터지만 R도 있고 C++도 보인다.
파이썬 모양의 Try Classic Notebook을
눌렀더니 이런 화면이 나온다.
파이썬웹에디터지만 있을 기능들은 다 있다.
New notebook > Python 3 클릭!
저장도 할 수 있고, 복사도 가능하고
이름도 바꿀 수 있다.
예전에 주피터노트북을 썼던 화면창 그대로 나온다.
사용해보니 기능과 단축키도 동일하다.
단 웹에서 실행해서 쓰는 것인만큼
메모리가 2 GB정도밖에 안 된다.
길다란 코드는 쓰지 못하고, 공부할 때
연습용으로 괜찮은 것 같다.
설치안해도 되고 간편하지만 이런 게
파이썬 웹에디터의 한계다.
Try JupyterLab를 선택했을 때 나오는 창이다.
Python 3를 선택하면 된다.
C++이나 R 언어도 지원을 하고 있는 것 같다.
코드를 입력했을 때 무사히 출력이 된다.
아무 코드나 입력해서 실행해보았다.
파이썬 웹에디터에서 코드 실행 단축키는
shift+enter !
(jupyter를 설치해서 쓸 때랑 동일하다.)
에러없이 무사히 작동이 되는 모습이다.
Codepen이나 jsbin같은 걸 써도 되지만
jupyternotebook이랑
완전 동일한 GUI를 보여주는 건 이게 처음이다.
사용방법도 꽤나 간단하기 때문에
자주 쓸 것 같다.
다음 포스팅은 아나콘다와 주피터노트북을
설치해서 파이썬을 쓰는 방향으로 작성해봐야겠다.
그리고 제일 인기있고 많이 쓰이는
파이참도 한번 써볼 예정이다.
[SQL] 1차 2차 3차 정규화 개념 및 사례 정리 (0) | 2022.05.16 |
---|---|
주석(comment), 자료형과 추상화, 변수, 지정함수에 대한 개념정리 (0) | 2021.08.30 |
파이썬 가위바위보 알고리즘 예제1 , 대문자를 소문자로 변경 예제2 _복습4 (0) | 2021.04.30 |
정올 출력-자가진단(1~8번 문제) 파이썬으로 풀이_과제1 (0) | 2021.04.29 |
파이썬 조건문, 반복문(if,else,elif,for)_복습1 (3.16) (0) | 2021.04.2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