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브라우저 "위에서 돌아가는 웹사이트"
( 웹사이트 = 웹페이지 = 웹애플리케이션 )
웹브라우저도 여러 기능을 가진다.
(제목표시, 목록을 표시, 링크를 표시하는 기능)
html언어의 문법에 따라,
웹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기능들을 호출한다.
(웹 애플리케이션의 제작원리)
웹브라우저에서 html로 필요한 기능을 호출하듯이,
Node.js도 javascript를 이용해서,
node.js runtime 기능중 필요한 것들을 호출한다.
→ node js application을 만들어내는 과정
1. 웹 브라우저에 주소(url)을 입력해서,
사용자가 요청을 한다.
2. 웹서버는 요청에 따른 정보를 찾아서 응답해준다.
Apache, nginx같은 서버와 관련된 소프트웨어가 있으나,
node.js도 웹서버 기능을 자체 내장하고 있다.
→ 아파치에서 안되는 기능을,
노드 js로 서버 구동이 가능하다.
※ node.js 에서는
프로그래밍으로 사용자에게 전송할 데이터를
임의적으로 생성 가능하다.
→ 아파치같은 웹 서버에서는 못하는 기능.
node.js와 php, 파이썬 장고가 가능하다.
아래에서 테스트해보자.
1. 파일 압축풀기
→ 생활코딩에서 소스코드 다운이 가능 (메뉴얼 참조)
2. node js 설치
3. 터미널: node main.js 로 서버 실행
4. 브라우저: url "localhost:3000"으로 입장
서버 종료: Ctrl + c (터미널)
서버 실행: node main.js
console.log(__dirname + url);
dirname은 디렉토리 경로를 나타내고, (main.js 파일이 위치한 디렉토리)
url은 서버 페이지 주소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요청할 때
/2.html이 전달되었기 때문에
페이지가 바뀔 때마다 "디렉토리 경로"와 "url 경로"가 뜬다.
웹브라우저에서
메인페이지/ HTML페이지/ CSS 페이지 등을
이동할 때마다 위와 같은 경로가
자동으로 터미널에 찍힌다.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vscode 경로에 뭐가 찍힌다.
※ 사용자가 요청(=접근)할때마다 javascript를 통해서
우리가 읽어들여야할 파일을 만든다.
READ
파일로부터 읽는다.
위 code에서 node.js가
"경로에 해당되는 파일을 읽고, 값을 가져온다."
response.end 코드를 변경해보았다.
서버를 껐다가 다시 켜서 실행
→ 페이지 내용이 ('dewworld : ' +url);
경로 이름으로 변경되어 있음.
※
node.js는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데이터
(브라우저에 찍히는)를 바꿀 수 있다.
JavaScript Fetch AP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법 (0) | 2022.01.17 |
---|---|
자바스크립트 객체 지향(Object-Oriented Programming)에 대한 기초 지식 (0) | 2022.01.14 |
node.js를 익히기 전, 자바스크립트 기본 문법 정리 (0) | 2022.01.12 |
Node.js를 배우기 전 자바스크립트(javascript)의 역사 흐름 (0) | 2022.01.10 |
[Node.js] 블로그 웹사이트 만들기-0. 요구사항 명세서 작성하기 (RAEDME.md) (0) | 2022.01.05 |
댓글 영역